카드 뉴스를 제작할 때 중요한것은 디자인보다 내용입니다.
포맷의 장점을 살리는 내용쓰기, 관심을 유도하는 제목쓰기, 목적을 달성하는 디자인하기 총 3단계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첫번째 단계인 내용쓰기를 할 때 주의해야할 점, 유념해야할 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1. 포맷의 장점을 살리는 내용쓰기 (전체 내용을 압축)
- 내용을 탄탄하게 만들어 놓으면, 그 내용을 다른 포멧에 재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글을 쓰고 난 후 텀을 두고 다시 글을 보며, 앞 뒤가 맞는지, 톤이 맞는지 재 확인 해야합니다.
1) 그리듯이 쓰기 (잘 쓰는 사람들의 글을 많이 보아라)
- 개인의 감정이나 상황이 눈에 보이는 것처럼 작성할 수 있는 1인칭 주인공 시점, 1인칭 관찰자 시점에서 쓰는 것이 전지적 작가 시점보다 훨씬 효과적입니다.
2) 감정을 극대화 (문제의 극대화)
- 감정에 몰입하도록, 장면에 몰입해도록, 디테일하게, 대화체로 문제를 극대화 시킵니다.
- 문장의 디테일, 적절한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3) 정리하며 글쓰기
Step1- 정보를 얻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 정보의 배경을 말합니다.
Step2- 정보가 몇 가지인지 언급해줍니다
Step3- 소제목(톤을 맞춤)
Step4- 소제목의 설명
Step5- 최종 정리 (어떠한 느낌으로 타겟을 생각하는지에 대해 의도를 드러낼 수 있습니다.)
4) 정보의 수준은 어느 정도로?
카드뉴스를 제작할 땐 초급을 수준으로 콘텐츠 제작을 해야합니다.
고급단계일 경우는 카드뉴스로 정보를 소비하기 보단, 텍스트(책, 기사)로 소비할 것입니다.
5) 글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
a) 데이터를 사용
- 서비스로 인해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그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또 다른 콘텐츠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서비스 데이터를 재가공해서 제공할 때 타겟들에게 전문성을 줄 수 있습니다.
▶ 외부데이터 (외부 서베이에 의해면~)
▶ 연구결과 활용하기 (법칙이나 논문의 결과 활용)
앞에서 하버드 연구결과 목표가 구체적인 사람의 소득이 높다, 라고 제시했을 때
독자가 뒷 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겠죠?
▶ 성공사례 활용하기
사람이 구체적일수록 더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독자가 그 사람이 될 수 있다고 감정을 이입하여 훨씬 더 많은 트래픽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b) 내부이야기를 담는 방법
정보를 먼저 제시 후 내부 직원 이야기를 나중에 함으로써 회사 자랑보다 더 나아간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c) 서비스를 알려야 하는 순간에 쓰는 방법
- 문제-->변화-->해결책-->미래
문제, 변화, 해결책 까지 제시해 줄 경우, 특정 행위로 넘어가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때문에 어떤 특정 행위를 미래에 해야한다고 구체적으로 제시를 해주어야 합니다.
- 서비스의 입장에서 불편함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타겟들의 입장, 고민에 대해 고려하려고 해야합니다
d) 띄어쓰기, 맞춤법 확인하여 내용 점검하기.
2. 관심을 유도하는 제목쓰기 (관심을 어떻게 유도할까?)
1) 숫자를 사용하는 방법
전체에서 가장 흥미로운 숫자를 발견하여 콘텐츠로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 묶음 숫자: 홀수로 유도하는 것이 훨씬 트래픽이 높았다, Top5,3가 Top6,4보다 훨씬 더 큰 이목을 끌었다.
- 충격적으로 큰 숫자 : 이것을 안했는데, 1억원이나 손해봤다고?
- 구체적인 숫자 : 많은 < 약 만명< 9989명의 고객이 선택하셨습니다. (오른쪽으로 갈 수록 훨씬 신뢰도가 높아짐)
- 유리한 단위: 퍼센트< 열 곳중 두 곳 (사람들이 접근하기 좋은 단위), 3시간< 180분 , 5위-->1위 방향으로
2)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법
- 상식 비틀기를 통해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40만원으로 해외여행을 가능 방법!"
(단, 낚시성 콘텐츠는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내용에 대해 타당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질문을 활용하는 방법
- 두가지를 비교하여 질문, 어떤 것을 선택했을지 궁금증을 유발하게끔 유도를 합니다.
- 당연한 이야기를 질문, 독자가 놓치고 있을 법한 정보나 새로운 정보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타겟의 시의성 활용
시기 맞춤: 나라의 정책에 변화가 있었을 때, 그것이 소비자에게 미칠 영향과 관련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ex- 월드컵 결승, 일회용품 규제 정책 등등)
지금 같은 경우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전해줄 수 있는 메세지가 있다면 더욱 강력하게 다가오겠죠?
5) 이득과 볼안을 활용
(인간은 무언가를 해서 이득을 얻는 것 보다, 잃는 것을 더 무서워합니다)
- 이득: 주문수가 오르는 꿀팁! , 주문수를 10% 높이는 법!
- 불안: 놓쳤던 300만원을 찾으세요,
단, 이득과 불안을 주면서 콘텐츠 내에서 궁금증 해소를 꼭 시켜주어야 함.
3. 디자인하기
-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독성'이다, 새롭고 화려한 디자인보다도 가독성이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 이미지는 개티이미지/ 픽사베이/ unsplash 등등에서 저작권 위반하지 않는 무료 이미지를 찾아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이미지를 찾고 싶으실 때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좋은 이미지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yurangina.tistory.com/26
좋은 퀄리티의 이미지를 무료로 사용하기- 3개 사이트 추천, 저작권 걱정 no!
퀄리티 있는 게시물, 컨텐츠를 제작할때 구글에서 이미지를 캡쳐해서 사용했을 때, 언젠가 나에게 문제로 다가 온다면? 그런 일이 있어선 안되겠죠? 때문에 저작권free 이미지를 꼭 사용을 해야��
yurangina.tistory.com
'All about Mi > About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스북 광고 캠페인 구조에 대한 이해 (0) | 2020.04.17 |
---|---|
페이스북 마케팅의 구조, 개괄 (0) | 2020.04.17 |
Digital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0) | 2020.03.22 |
컨텐츠 마케터 & 퍼포먼스 마케터는 무슨 일을 하나요? (0) | 2020.03.14 |
브랜드 마케터는 어떤 일 하는 사람이에요? (0) | 2020.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