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마켓팅을 진행할 때, 페이스북 페이지 내에 코드를 복붙하여,
전환을 추적하거나 페이지뷰를 진행하였는지 평가를 합니다.
이 때 이 코드를 페이스북 픽셀이라고 부릅니다.
1. 페이스북 픽셀
1) 픽셀이란?
Java script 코드를 통해 사람들의 행동을 추적합니다.
웹사이트 방문-->픽셀 작동-->행동 (클릭, 구매페이지, 앱 다운, 구매완료) -->픽셀 작동
추적하고 싶은 페이지에 픽셀을 설치하여, 고객 경로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2) 픽셀의 장점
- 어떤 타겟층의 고객이 클릭을 하였는지 정교한 타겟팅이 가능합니다.
- 클릭한 사람이 어떠한 전환으로 이어졌는지 추적할 수 있습니다. (가입? 장바구니? 구매?)
- 광고 최적화: 한번이라도 캠페인이나 게시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타겟들에게, 전환이 이루어졌지만 구매로 이어지지 않은 타겟들에게 픽셀로 추적하여 광고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픽셀의 기본 구조
- 기본 코드: 페이지뷰, 페이지를 방문한 모든 사람을 트랙킹합니다.
- 이벤트 코드: 추적 및 최적화
4) 픽셀 설치 방법
- 이벤트 관리자-->픽셀-->픽셀 만들기
- 코드 직접설치 선택 후 head와 /head사이에 기본 코드를 입력해줍니다.
- 픽셀을 복붙한 모든 페이지의 조회 데이터를 확보 가능합니다.
5) 표준 이벤트 설치하기
-표준 이벤트란? 페이스북 측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추적하는 것들에 대해 제공하는 기본 코드입니다.
Ex) 장바구니 담기, 결제 정보 추가, 등록 완료, 결제 시작, 구매 등등
- on page load (단순 페이지 유입)가 아닌 on inline action (표준 이벤트 행동)으로 인사이트를 얻어야 합니다.
- 표준이벤트 설치 위치: 태그 앞에 표준 이벤트 코드를 넣어주면 됩니다.
* 픽셀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려면 chrome 확장 프로그램:
pixel helper를 설치하여 페이지 활성화가 잘 되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을 진행할 때는 적절한 타겟들에게 이루어지는 것인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페이스북 마케팅에서 사용하는 주요 타겟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페이스북 타겟
1) 핵심타겟
- 페이스북에서 보이는 행동 (유저가 직접적으로 입력하는 정보, 페이지 좋아요, 게시물 반응) 기반으로 생성된 타겟
- 인구 통계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선택된 타겟
- 연결관계 (여행을 좋아하는 사람, 오이를 싫어하는 사람 등등)
2) 맞춤 타겟
- 고객의 정보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이메일, 픽셀을 기반으로 특정한 고객군을 모아놓은 타겟
- 광고관리자-->자산-->타겟에서 생성 가능
- 소스: 고객 리스트/ URL/ 앱 활동/ 페이지 게시물 참여
- 자산>타겟을 통해 타겟의 규모와 사용가능 여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웹사이트 URL을 기준으로 방문한 사람들을 모을 수 있습니다.
- 기존의 표준 이벤트 기준으로 세분화가 가능합니다.
즉, 장바구니 담는 이벤트를 실행했는데, 어느 URL을 통해서 들어왔는지를 세분화 할 수 있습니다
3) 유사 타겟
- 맛춤 타겟을 기반으로 1~10% 범위로 확장된 타겟 (맞춤타겟이 크지 않을 때)
- 인구 통계학적 특성&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
(보통 1~2%를 사용합니다, 더 큰 범위를 사용하면 내가 원하는 타겟의 범위에서 너무 많이 벗어납니다.
보통 1%당 17~18만명을 뜻합니다)
- 소스: 맞춤타겟/ 비즈니스 페이지
- 위치: 국가
- 타겟규모: 유사타겟 모수의 크기
3%는 2%를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3%와 2%는 완전히 다른 모수입니다.
때문에 3-2%, 2-1%,4-3%로 타겟을 제외 후 시장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All about Mi > About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스북 마케팅 전략 & A/B test (1) | 2020.04.25 |
---|---|
페이스북 광고 캠페인 구조에 대한 이해 (0) | 2020.04.17 |
페이스북 마케팅의 구조, 개괄 (0) | 2020.04.17 |
카드뉴스 작성의 개괄 (0) | 2020.03.31 |
Digital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0) | 2020.03.22 |